![]() |
삼성 전자가 출시하는 크롬북의 키보드 |
구글측은 "윈도 PC는 쓰면 쓸수록 낡아지지만 크롬북은 쓰면 쓸수록 기능이 향상된다"고 주장했다.
PC를 물에 빠뜨리거나 분실해도 괜찮다. 모든 작업 결과가 웹에 있기 때문에 잃어버릴 걱정이 없고 HDD나 고성능 중앙처리장치(CPU)도 필요 없다. 가격도 싸다. 삼성전자가 출시할 크롬북은 와이파이 전용 모델의 경우 429달러 3세대(3G)로도 쓸 수 있는 모델은 499달러다. 12.1인치 화면에 무게는 1.48㎏ 배터리 지속 시간은 8시간 정도다.
인터넷 사용에 최적화=PC 자판의 배열을 인터넷 서핑에 알맞게 바꿨다. 기존 노트북의 자판 맨 윗줄에는 F1 F2 등의 기능키가 있다. 하지만 크롬북은 이 자리에 '뒤로 가기' '앞으로 가기' '새로 고침' '소리 조절' 등 인터넷을 사용할 때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넣은 키를 배치했다. 전원 버튼을 누르면 8초 만에 로그인 화면이 뜬다. 윈도 PC는 부팅에 1분 이상이 걸린다. 인터넷에 연결돼 있지 않아도 G메일이나 구글의 문서 프로그램인 '구글 독스'에서 작업한 내용이 잠시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에 저장된다. 웹에 다시 연결하자마자 저장된 작업 내용은 구글 서버로 보내진다.
출시 계획=크롬북은 올 6월 15일 미국 등 7개 나라에서 출시될 예정이다. 그러나 출시된다고 해도 얼마나 많은 소비자가 쓸 수 있을지는 전망하기 어렵다. 대부분 PC는 윈도 OS에 최적화돼 있다. 금융 거래에는 윈도용 보안 프로그램 액티브X가 쓰이고 기업에선 MS의 사무용 프로그램인 윈도 오피스를 사용한다. 하지만 크롬북에선 윈도용 SW를 쓸 수 없다.
이 때문에 구글이 노리는 것은 일반 소비자가 아닌 기업 시장이다. 학교나 기업에서 1인당 월 20~28달러를 내면 크롬북을 대여해 주는 방식이다. SW.하드웨어(HW) 업그레이드나 보안 문제 등을 모두 구글이 맡아준다. 구글은 윈도 OS보다 관리 비용이 훨씬 적다고 주장하고 있다.
![]() |
로그인후나타나는첫화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