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계 부자 급증!
입력일자:2007-08-22 퓨 리서치는 소득 수준을 ‘저소득’ ‘저-중간 소득‘ ’중간 소득‘ ’고-중간 소득‘ ’고소득‘ 등 다섯 단계로 나누어 지난 10년간의 증가율을 조사했으며 아시안계 1세 주민 소득 증가율 평균은 126%였다. 고-중간 소득자도 같은 기간 162%가 증가해 아시안계 1세 이민자들의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라티노 주민 1세대 고소득자가 같은 기간 77%, 고-중간 소득자는 112%가 증가한 것과 크게 대조되는 수치다. 숫자로 보면 아시안계 고소득자는 1995년 45만1,000명이던 것이 2005년 120만명으로 크게 늘어 전체 1세 아시안계 주민 410만명의 30%에 육박했다. ‘고-중간 소득’ 그룹에 해당하는 아시안계 주민은 19%로 79만1,000명이었다. 반면 저소득이나 저-중간 소득에 속한 아시안계 주민은 1995년 38%에서 2005년 32%로 줄어 아시안계 1세 이주자들의 생활이 대체적으로 나아지고 있음을 반영했다. 아시안과 비교해 조사된 라티노계 주민 1세대도 저소득 그룹은 같은 기간 42%에서 36%로 감소했으나 ‘저-중간 소득’ 그룹은 26%에서 29%로, 중간 소득 그룹은 17%에서 19%로, 또 ‘고-중간 소득’ 그룹은 9%에서 10%로 각각 늘어 생활이 그리 나아지지 않았음을 보여줬다. 고소득 라티노 주민 1세대는 10년 동안 변화없이 6%를 기록했다. 백인 근로자들은 아시안계 1세 주민과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여 고소득 29%, 저소득 및 저-중간 소득 32%를 각각 기록했다. 흑인은 고소득자가 14%, 저소득 및 저-중간 소득자는 48%였다. 한편 외국인 1세대 이주자 전체를 볼 때 약 50%에 해당하는 주민이 ‘저소득’ 또는 ‘저-중간 소득’에 들어가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숫자상으로는 각각 490만명(27%)과 430만명(23%)를 각각 기록했다. 또 고소득자는 16%였다. <한국일보> <이병한 기자>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미국 버지니아 챈틀리 지역 부동산 정보 보고서 | 06/30 | 35 |
미국 버지니아 레스톤 지역 부동산 관련 레포트 | 06/18 | 44 |
워싱턴 부동산 시장 정보 요약 - Q2, 2025 | 06/17 | 68 |
2025년 하반기 워싱턴 D.C. 지역 주택시장 분석과 예측 | 05/19 | 132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185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298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316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297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444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440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389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414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431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454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4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