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에도 급락 가능성 없어 '주택시장 혼란 없다'
[하버드대 보고서] 인구 증가로 완만한 하락 그칠 것 금리 추가 인상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주택시장이 가격 급락 등 큰 혼란을 겪을 가능성이 없다는 장미빛 전망이 나왔다. 14일 CNN머니에 따르면 하버드대학의 주택연구 센터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주택시장이 하락국면에 진입하긴 했지만 급락의 가능성은 없을 것"이라며 낙관론을 폈다. 보고서는 "주택시장은 실수요를 감소시키는 금리 인상이라는 위험에 직면해 있지만 전체 경제가 붕괴되거나 실업이 급증하지 않는 한 완만한 약세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같은 전망은 인구통계학적인 변화와 인구 증가가 주택 수요의 버팀목이 될 것이라는데 근거를 두고 있다. 우선 올해 새로운 가구수가 137만 가구 이상으로 강한 성장세를 나타낼 전망이다. 여기에는 자연 증가분 뿐 아니라 이민도 상당부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공한 베이비붐 세대가 중년화되면서 휴가 등을 위해 두번째 집을 구입하는 수요가 늘고 있다는 것도 주택시장에 긍정적이다. 이같은 추세는 그들의 퇴임이 가까워질 수록 더 강화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이혼 등 사회 및 문화적 인식의 변화에 따라 일인 가구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같은 인구에서도 가구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 흑인 및 라틴계 등 사회적 소외계층의 주택수요 증가도 주택 수요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고서는 금리 인상이 모기지론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크게 우려할 만한 사항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금리인상→모기지론 월 납부액 증가→주택 매물 증가→주택 재고 증가→주택 가격 하락의 악순환 고리가 형성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지만 그런 일이 발생할 가능성은 적다는 주장이다. 주택시장이 호황을 구가하면서 소유주의 잠재적 시세차익이 상당히 커진 만큼 모기지론을 갚기 위해 주택을 즉시 매물화할 가능성은 낮다는 논리다. 중앙일보 신문발행일 :2006. 06. 15 수정시간 :2006. 6. 14 19: 24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미국 버지니아 챈틀리 지역 부동산 정보 보고서 | 06/30 | 36 |
미국 버지니아 레스톤 지역 부동산 관련 레포트 | 06/18 | 44 |
워싱턴 부동산 시장 정보 요약 - Q2, 2025 | 06/17 | 68 |
2025년 하반기 워싱턴 D.C. 지역 주택시장 분석과 예측 | 05/19 | 133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185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298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317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298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444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440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389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415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431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454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4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