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큰 폭 상승
나스닥 1.3%, 다우 0.8%등 뉴욕 주식시장이 큰 폭으로 상승 마감했다. 25일 다우지수는 11,211.05로 전일대비 93.7P(0.84%) 올랐고, 나스닥은 2,198.24로 29.07P(1.34%) 상승했다. S&P 500은 1,272.88로 전일보다 14.31P(1.14%) 뛰었다. 이날 강한 상승은 인플레이션 우려가 예상만큼 크지 않고, 이에 따른 금리인상 부담이 줄어들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전일 GM에 이어 이날 월마트, 이베이 등 미국의 대표적인 기업들의 투자의견이 상향 평가된 것도 호재로 작용했다. 투자등급이 상향 조정된 GM은 전날 8% 넘게 상승했으며, 이날도 5% 넘게 올랐다. 야후와 제휴한 이베이도 12%, 야후도 4% 정도 상승했다. 장중 발표된 1분기 국내 총생산(GDP) 수정치 5.3%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줄어들었다고 인식됐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 쓴 인플레이션 기대가 억제되고 있다는 서신이 공개된 것도 같은 맥락. 버냉키 의장은 짐 색스톤 미의회합동경제위원회 의장에 보낸 서신에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 수년간 안정세를 보이고 있고,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는 잘 억제되고 있다고 밝혔다. 1분기 국내총생산 수정치는 잠정치 증가율을 넘어선 것이었으나 예상치 5.8%에는 미치지 못했다. 같은 기간 근원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잠정치와 같은 2.0% 상승에 그쳐 인플레 우려를 약화시켰다. 거래량은 전일 보다 많지 않았다. 거래소는 24억주, 나스닥은 19억6천만주에 그쳤다. 한편 지난달 기존 주택 판매가 676만채로 2% 감소한 것으로 발표(NAR)돼, 냉각기류의 주택시장 때문에라도 FRB가 금리를 계속 인상하지 못할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인터넷 업종이 2% 넘게 올랐고 석유 서비스 업종도 4% 가까이 상승 했다. 에너지업종과 금 업종도 각각 3%, 5% 가량 올랐으나 반도체업종은 약보합세를 나타냈다. 시중 실세금리는 소폭 상승, 10년 만기 미재무부 국채는 연 5.074%로 전날보다 0.040% 포인트 올랐다. 시장 관계자들은 긍정적인 경제지표가 발표되면서 지난 2주간 나타난 하락세가 과도했다는 인식이 확산됐다고 보고 있다. 중앙일보 송훈정 기자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미국 버지니아 챈틀리 지역 부동산 정보 보고서 | 06/30 | 36 |
미국 버지니아 레스톤 지역 부동산 관련 레포트 | 06/18 | 44 |
워싱턴 부동산 시장 정보 요약 - Q2, 2025 | 06/17 | 68 |
2025년 하반기 워싱턴 D.C. 지역 주택시장 분석과 예측 | 05/19 | 133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185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298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317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298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444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440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389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415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431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454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4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