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경제 지표, 아시안중 하위권
미국의 한인사회는 짧은 이민역사에도 불구하고 많은 업적을 이뤘지만 여러 사회경제 지표는 중국, 인도 등 다른 아시안 국가 출신에 아직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연구센터(CIS)는 최근 발표한 ‘2005년 이민자 실태 연구’ 보고서에서 미국내 이민자들의 출신국가별 사회경제적 현황을 분석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인 이민자 중 경제적으로 빈곤 상황에 처한 비율은 13.2%로 베트남의 14.3%보다만 나을 뿐, 필리핀(5%) 인도(6.1%) 일본(10.3%) 중국(10.4%) 등보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인 것으로 드러났다. 4인 가족을 기준으로 연소득이 1만9,311달러(2004년 기준) 이하일 경우 ‘빈곤 상황’으로 분류된다. 1만9,311달러의 2배인 연소득 3만8,622달러에 미치지 못할 경우 ‘준빈곤 상황’으로 분류되며, 한인 이민자 중 27.8%가 준빈곤 상황에 처한 것으로 CIS는 연방 센서스국의 자료를 토대로 집계했다. 의료보험이 없는 경우도 한인은 22.1%로, 베트남 출신(24.1%)보다만 양호했을 뿐, 일본(9.1%) 필리핀(13.8%) 인도(16.4%) 중국(21.7%) 등에 못미쳤다. 미국인 전체의 무보험 비율은 13.3%다. 사회보장(웰페어) 수혜율에서도 한인은 17.4%로 베트남(31.8%) 중국(18.5%)보다 낮았을 뿐, 인도(7.9%) 일본(13.4%) 필리핀(15.6%)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다른 아시아 국가 출신보다도 한인들의 사회경제적 지표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이민역사가 상대적으로 짧을 뿐 아니라, 영어 습득 정도 역시 인도나 중국계, 필리핀계에 뒤지는 점이 주요 요인으로 지적됐다. 한인 이민자 중 시민권 취득 비율도 다른 아시안 커뮤니티보다 떨어졌다. 한인 인구 중 시민권 취득자는 51.7%로 필리핀(61.5%), 베트남(60.2%), 중국·홍콩·대만계(54.1%)보다 낮았다. <최영태 기자>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미국 버지니아 챈틀리 지역 부동산 정보 보고서 | 06/30 | 36 |
미국 버지니아 레스톤 지역 부동산 관련 레포트 | 06/18 | 44 |
워싱턴 부동산 시장 정보 요약 - Q2, 2025 | 06/17 | 68 |
2025년 하반기 워싱턴 D.C. 지역 주택시장 분석과 예측 | 05/19 | 133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185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298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317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298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444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440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389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415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431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454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4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