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Credit: pickupimage.com
통계로본 경기호전과 부동산동향
통계로본 경기호전과 부동산동향 여러가지 데이터들을 살펴보면 현재 미 전역의 집값이 전체적으로 오르고 있다는 사실을 금새 알 수 있다. 그 가운데 하나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의 케이스 쉴러 지수만 보더라도 지난 8월에 집값이 무려 한달 사이에 크게 뛰어올랐다는 점을 볼 수 있다. 아울러 상무부가 발표한 신규주택의 매매가에서는 같은 시기인 8월에 무려 11.2%나 급등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집값이 오르고 있다는 것을 아주 쉽게 알 수 있는 곳은 매매되는 집값에서 스퀘어 피트 당 가격 이동모습을 보는 것이다. 부동산 분석가인 류 시첼만은 최근 리얼티 문답이라는 칼럼에서 이에 관한 언급을 해뒀다. 이 스퀘어피트당 가격은 주택이 많이 팔리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등에서 매매되는 집값에서 나타나는 편차를 줄여서 비교적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유용한 집값 동향 기준이 된다. 즉 집의 크기나 사는 동네 등 여건에 따라 집값이 변하는 것은 과학적인 측정 기준이 없이 시장의 동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나 스퀘어피트 당 계산하면 이같은 모습이 교정돼 실제 가격대만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가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미 전역의 100대 대도시 지역의 매매된 집의 스퀘어피트 당 가격이 무려 78곳에서 오른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오른 곳에는 애리조나주 피닉스시를 비롯해 플로리다주 포트 마이어스, 캘리포니아주 산호세,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등 주로 주택경기 침체가 심했던 지역에서 크게 오른 것을 포함하고 있다. 피닉스 지역의 경우 스퀘어피트 당 중간가격은 64.03달러에서 무려 31.2%가 급등한 84.01달러를 보이고 있다. 이 지역의 집값의 중간가격은 11만8000달러에서 15만5000달러로 역시 31.36%가 올라 이와 비슷한 패턴을 보여 흥미를 끌기도 한다. 산호세 지역에서는 377.86달러에서 449.51달러로 19%가 올랐다. 스퀘어피트 당 450달러 선이면 집값은 굉장히 높은 집이기도 하다. 그래서 그런지 이 지역의 집값은 76만5375달러를 보이고 있다. 미 전체를 놓고 볼 때 스퀘어피트 당 가격은 중간가격이 89.75달러를 보이고 있다. 이는 1년전 보였던 87.44달러 보다 2.5%가 오른 것이다. 스퀘어피트 가격이 오르는 것은 집값이 오르니 당연하다고 하겠으나 또 다른 측면의 실측을 가능하게 해주는 지표이다. 집의 상태나 연륜, 꾸며놓은 상태 등에 따라 집값은 차이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모든 집 관련 지표는 가격의 상승을 보여준다. 늘 예고했듯 집값은 이제 더 이상 내리막 길을 걷는다는 전망을 하기에는 어렵다. 오르는 일만 남은 것이 대부분의 예고이다. 이 지면을 통해 올해 초부터 계속 집값의 상승을 언급해 왔지만 이제 상승세의 완급만 다를 뿐 독자들 모두가 집값 상승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는 이들은 없어 보인다. 경제만 잘 되기를 기대할 뿐이다.많은 이들이 한 구석에서 우려하는 한 가지 점은 바로 부양책을 써야 하는 경제가 내려앉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실업률이 낮아질 수 있는 부양이 이뤄져야 집값의 호경기가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의 경제위기가 미국의 문제만이 아니라 세계경제의 상황과 맞물려있기에 빠른 경기회복은 속단하기가 어렵다 다만 우리가 거주하는 워싱톤지역은 부동산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리라는 전문가의 공통된 의견이다 지난 수년간 융자가 까다로워 주택구입에 많은 어려움에 있었지만 조만간 융자기관에서 융자활성화방안을 위해 좋은 프로그램이 나올것으로 기대한다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지금 집을 사야 하나 | 08/31 | 2,222 |
나에게 맞는 테넌트 선택하기 | 08/18 | 2,055 |
집을 사기 위한 오퍼 작성 | 07/06 | 1,874 |
캐피탈 게인 택스 면제 받으려면 | 07/02 | 1,979 |
부동산의 매력 | 06/08 | 1,732 |
언제 집 사는 게 좋을까? | 05/25 | 1,704 |
양도 소득세를 면제 받으려면 | 04/14 | 1,663 |
은행 위기에도 여전히 주택 구입난 | 03/31 | 1,665 |
연준아! 이제 만족하니? | 03/17 | 1,659 |
올무가 되어버린 정부 재난융자 | 03/09 | 1,618 |
부동산 봄 마켓은 핑크빛 | 03/02 | 1,617 |
시니어들의 부동산 세금 면제 | 02/05 | 1,645 |
벌써 달궈진 1월 부동산 마켓 | 01/20 | 1,648 |
고금리가 뉴 노멀? | 01/06 | 1,623 |
부동산 겨울 이야기 | 12/23 | 1,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