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Credit: pickupimage.com

아홉 가지 올바른 몸 가짐

조선시대엔 천자문(千字文)을 떼고 나면 계몽편 (啓蒙篇)을 읽는다.

그 말미에 구용(九容) 즉, 아홉 가지 몸 가짐에 대한 가르침의 내용을 보면..

 

1. 족용중(足容重)=발을 무겁게 하라.

처신을 가볍게 하지 말라는 말이다.

수 틀리면 책상 위에 올라 두 발로 구르기 일쑤인

아무게 당의 아무게 선량이 꼭 새겨 들어야 할 대목이다.

 

2. 수용공(手容恭)=손을 공손히 하라.

인간은 손을 쓰는 존재다.

그런데 손이 잘못 쓰이면 성희롱도 되고 뇌물 수수도 되지만

손을 제대로 쓰면 누군가를 도와주는 일이 된다.

 

3. 목용단(目容端)=눈을 단정히 하라.

단정한 눈으로 세상을 꿰뚫어 보는 힘을갖자.

1992년 초 "덩샤오핑"은 노구를 이끌고 남순강화 (南巡講話)를 통해

이대로의 걸음으로 100년을 가자" 고 말했다.

나아갈 방향을 분명히 본 것이다.

 

4. 구용지(口容止)=입을 함부로 놀리지 말라.

물고기가 입을 잘못 놀려 미끼에 걸리듯,

사람도 입을 잘못 놀려 화를 자초하는 법이다.

입구(口)자 세 개가 모이면 품(品)’자가 된다.

자고로 입을 잘 단속하는 것이 품격의 기본이다.

 

5. 성용정(聲容靜)=소리를 정숙히 하라.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는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기 는 것으로 되어 버렸다.

그래서 너도 나도 목소리를 키우려다 난장판이 됐다.

자고로 소리 요란한 것 치고 제대로 된 것은 하나도 없다.

 

6. 기용숙(氣容肅)=기운을 엄숙히 하라.

우리는 예외없이 세상속에서 기 싸움을 하고 있다.

기 싸움은 무조건 기운을 뻗친다고 이기는 게 아니다.

리더의 기운이 뻗쳐 혼자 설쳐대면 아래는 모두 엎드리고

눈치만 살펴 보기 마련이다. 

 

7. 두용직(頭容直)=머리를 곧게 세워라.

지금 우리 주변엔 고개 떨군 사람이 너무나 많다.

일할 곳을 못 찾아 고개 떨군 젊은이들.

또한 언제 잘릴지 몰라 전전 긍긍하는 중년들.

하지만 고개 들어 하늘을 보라. 아직 끝이 아니다.

끝인 듯 보이는 거기가 새 출발점이 된다.

 

8. 입용덕(立容德)=서 있는 모습에 덕이 있게 하라.

덕있게 서 있다는것은 있을 자리와 물러설 자리를 아는 것이다.

진퇴를 분명히 하는 것이다.

자리를 차고 앉아 있어도 옹색한 사람이 있고,

자리에서 물러 나도 당당한 사람이 있는 법이다.

 

9. 색용장(色容莊)=얼굴빛을 씩씩하게 하라.

사람들의 얼굴에 화색이 돌게 하려면 무엇보다도

경제의 주름살이 펴져야 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힘들 다고 찡그리면 진짜 찌그러진다.

긍정과 낙관이 부정과 비관을 이기게 하여야 한다.

제목 등록일자 조회
버지니아 타운하우스 부동산 구입 시 투자가치 04/26 42
미국 이민정책 강화 및 입국심사 관련 안내 04/02 43
한국(경찰청)-네바다주(DMV) 운전면허상호인정 약정 체결 03/11 80
제106주년 삼일절 나라사랑 태극기 달기 운동 안내 02/25 125
대한민국 전자입국신고(e-Arrival card) 제도 시행 안내 (25.2.24부터) 02/20 164
주미대사관 사칭 보이스피싱 유의 안내 02/17 162
美 이민정책 강화 관련 안전공지 02/16 169
2024 재외동포 한민족 정체성 함양지수(Korean National Identity) 조사 실시 안내 02/05 186
영화 하얼빈 메인 예고편 02/03 183
오징어 게임' 종결편 시즌3 6월 공개 예정 01/30 223
미주 한인사회, 불법이민 단속에 불안 01/22 255
재외동포청, 미국 애틀랜타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참가자 등록 개시 01/19 222
오징어게임2 2주 연속 글로벌 시청 1위 01/07 300
자동차 정비전 정비비용 확인해보세요. 11/26 373
중국 남부 후난성 매장량 300t 규모 거대 금광 발견 11/25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