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Credit: pickupimage.com

금 온스당 5000달러까지 간다는데…원자재에 투자해 볼까?

고수익 노린다면 ETF(상장지수펀드)·선물 해볼만
주식거래 같은 'ETF' 사고 팔 수도 있어
선물 '대박' 가능하지만 '쪽박' 위험 상존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값이 온스당 5000달러 이상 치솟을 것이다."(존 해서웨이 토크빌골드펀드 펀드매니저)

"설탕 값이 28년 반 만에 최고치로 급등했다. 하지만 앞으로도 10년 간은 더 오를 것이다."(짐 로저스 로저스홀딩스 회장)

"유가는 내년에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설 것이다."(텍사스 석유 재벌 T 분 피켄스)

금값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이 속도라면 10년 내 온스당 2000달러 돌파를 예상한 로저스 회장의 예언은 훨씬 빨리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 앞으로 10년간은 주식보다는 농산물과 귀금속 투자가 유망하다고 봤다.

국제유가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이미 배럴당 80달러를 넘어섰다. 메릴린치는 내년에는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자재 시장이 전방위적으로 꿈틀거리고 있다.

골드먼삭스는 최근 "세계 경제 회복으로 원자재 시장이 반등하고 있다"며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가격이 가파르게 올랐던 2008년이 재연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출구전략 시행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본격화되고 미국 달러 가치의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원자재 강세는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원자재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원자재에 투자하려면 상장지수펀드(ETF)나 선물을 이용하면 된다. 증권회사나 선물회사에서 거래 계좌를 만들면 손쉽게 투자가 가능하다.

원자재(상품)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미국 증시에 상장된 ETF를 이용하는 것이다.

바클레이즈글로벌인베스터스에 따르면 8월 말 현재 전 세계 증시에서 100여 개의 원자재 관련 ETF가 거래되고 있다. 2002년 순자산총액이 1억 달러이던 원자재 ETF 시장은 올 8월 말 현재 177억달러 규모로 커졌다. 올 들어서만 시장 규모가 지난해 말(99억달러)보다 80% 가까이 늘었다.

ETF는 거래 방법이 주식과 똑같다. 원자재 ETF가 주로 미국과 유럽 증시에 상장된 만큼 미국과 유럽 주식거래 중개 서비스를 하고 있는 증권회사에 계좌를 트면 된다. 홈트레이딩시스템(HTS)으로도 사고팔 수 있다.

원자재 ETF에 투자할 때는 기초자산이 무엇인지를 잘 살펴야 한다. 미국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 관련 ETF만 하더라도 10가지가 넘는다. 예를 들어 'SPDR골드셰어즈(종목코드 GLD)'는 런던금속거래소(LME)의 금 현물 시세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는 대표적인 금 ETF다.

지난해 말 순자산총액이 785만달러였으나 금이 인기를 끌면서 최근에는 6100달러로 폭증했다. 주당 가격은 100달러를 넘어섰다.

'울트라골드프로셰어즈(UGL)'는 금 시세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지만 그 폭이 2배다. 금값이 1% 오르면 이 ETF 가격은 2% 오른다. 100달러를 투자하면 200달러를 투자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밖에 금과 은 시세를 함께 반영하거나 런던이 아니라 뉴욕 금 선물시세를 따르는 ETF 등 종류가 다양하다. 투자자는 어떤 원자재를 고를 것인지는 물론이고 어떤 시세에 따라 얼마의 폭만큼 움직이는 ETF를 고를지를 결정해야 한다.

선물회사에서 계좌를 개설한 후 HTS를 이용하면 시카고상업거래소(CME).시카고상품거래소(CBOT).뉴욕상업거래소(NYMEX) 등에서 거래되는 원자재 선물에 직접 투자할 수 있다.

상품 선물은 무엇보다 종류가 다양하다. 서부텍사스유(WTI).난방유.천연가스 등 에너지 구리.알루미늄.아연.납.니켈.주석 등 비철금속 금.은.백금.팔라디움 등 귀금속이 있다. 또 옥수수.밀.대두.커피.원면.코코아 등 농산물과 생우.육우.삼겹살 등 축산물을 비롯해 이산화탄소배출권까지 거래 가능하다.

또 상대적으로 소액 거래가 가능하다. NYMEX에서 거래되는 금 선물의 경우 증거금이 4500달러다. 농산물은 2000~2500달러 정도 있으면 된다. 레버리지(지렛대) 효과도 크다. 가격 움직임에 따라 레버리지 효과가 금의 경우엔 20배 원유의 경우엔 10배에 달해 적은 돈으로 높은 투자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생소한 투자 대상인 만큼 충분히 공부한 뒤 투자에 나서야 한다. 특히 선물은 레버리지가 크기 때문에 '대박'이 가능하지만 반대로 '쪽박'의 위험도 상존한다. 단기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장기 시장 전망을 가지고 투자하는 게 좋다. 수수료도 비싼 편이라 자주 샀다 팔았다 하는 과정에서 원금만 갉아먹을 수도 있다. 세금도 잊지 않아야 한다.

고란 기자

제목 등록일자 조회
미국 버지니아 챈틀리 지역 부동산 정보 보고서 06/30 34
미국 버지니아 레스톤 지역 부동산 관련 레포트 06/18 41
워싱턴 부동산 시장 정보 요약 - Q2, 2025 06/17 65
2025년 하반기 워싱턴 D.C. 지역 주택시장 분석과 예측 05/19 129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03/02 181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01/27 293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01/23 313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01/16 288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11/25 439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11/21 435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11/11 385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10/31 407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10/24 426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10/24 449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10/24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