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Credit: pickupimage.com

WSJ, "인플레 방향성만 명확하면 금리 내년 초 인하 가능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지난주 잭슨홀 연설에서 긴축의 고삐를 놓지 않았지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논평을 통해 연준의 금리 인상이 끝났을 것 같다고 진단했다.

 

WSJ은 26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이 잭슨홀에서 고전적인 연설을 했다며 그는 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작용을 하고 있다면서도 아직 갈 길이 멀다며 중립적으로 발언했다고 전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언뜻 필요하다면 금리를 추가 인상하겠다는 매파로 들리는 측면이 있지만, 신중한 입장을 강조하면서 금리 인상이 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란 점도 시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WSJ은 파월 의장의 이런 발언은 금리 인상이 사실상 끝났다 하더라도 추가 인상에 대한 옵션을 빼앗기고 싶지 않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이유는 연준이 금리 인상이 끝났다고 말하자마자 투자자들의 초점이 언제 인하를 시작할지로 빠르게 옮겨갈 수 있다는 경계심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장기 금리가 하락하기 시작해 정책 당국자들이 대비할 새도 없이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WSJ은 "실제로 금리를 인상하지 않고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투자자들이 연쇄적인 금리 인하를 예상할 가능성은 작아진다"며 "그러나 연준의 다음 조치는 실제 금리 인하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현재 연준의 오버나이트 금리 목표치는 5.25~5.50%로 20년 만에 가장 높다. 경제가 균형을 이루는 적정 금리가 팬데믹 이전보다는 높아질지라도 현재의 금리 수준보다는 훨씬 낮은 수준일 것이다.

파월 의장도 "현재의 정책 기조가 긴축적이어서 경제 활동과 고용, 인플레이션에 하방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매체는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인 2%까지 내려갈 필요는 없지만, 방향성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며 "올해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지만, 내년 초에는 연준이 승리를 선언할 준비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제목 등록일자 조회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03/02 122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01/27 233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01/23 256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01/16 233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11/25 378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11/21 373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11/11 326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10/31 348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10/24 368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10/24 381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10/24 403
대선, 누가 승리해도 내년 증시 상승 10/22 384
사우디 석유 증산 전망에 국제유가 하락 09/26 404
민주당 대통령 후보 해리스 중산층 감세 추진 09/25 432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 6.09%…19개월만에 최저 09/22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