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전미 주택가격지수 19.7% 상승... 상승률 둔화
미국의 주택 가격 상승세가 둔화 조짐을 나타냈다.26일(현지시간) 다우존스에 따르면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가 집계한 계절 조정 5월 전미 주택가격지수는 연율 19.7% 상승했다.
주택가격지수 상승률은 지난 3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었다. 이후 4월에는 5개월 만의 첫 둔화세를 나타냈고, 5월에도 연속해서 둔화하는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주택가격지수 상승세는 여전히 20%에 가까워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5월 수치는 전달 대비로는 1.49% 올랐다. 전월치(2.1% 상승)에 비해 상승률이 둔화했다. 주요 도시의 주택 가격 상승세도 소폭 완화됐다.
20개 도시 주택가격지수는 연율로 20.5%로, 전월치인 21.2%보다 하락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 예상치인 20.8% 상승보다도 상승률이 낮았다.
20개 도시 주택가격지수는 전월 대비로는 1.53% 올랐다. 전월치 2.3%에 비해 상승세가 다소 진정된 모습이다. 탐파(36.1%), 마이애미(34.0%), 댈러스(30.8%)가 20대 도시 중에서 가장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조사된 20개 중 4개 도시의 전년 대비 가격상승률이 전달보다 상승했다. 10개 도시 주택가격지수는 전년보다 19.0% 상승해 전달의 19.6% 상승률보다 소폭 높았다.
전월 대비로는 1.42% 상승하며 전월치(2.2%) 대비 둔화했다. 다우존스는 5월에 주택가격지수 상승률이 둔화했지만, 주택시장은 여전히 강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으로 상승세가 향후에 완화할 수 있다고 봤다.
다우존스의 크레이그 라자라 지수 전무이사는 "가격 상승률이 매우 높은 수준에서 소폭 완화됐다"면서도 "가격 상승률 둔화에도 불구하고 10대, 20대 도시와 전미 주택가격지수는 역사적으로 백분위 98%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준의 금리 인상에 따라 모기지 금리 조달 비용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더 도전적인 거시경제적인 여건은 매우 높은 주택 가격 상승률을 더 이상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별도로 발표된 연방주택금융청(FHFA)의 5월 주택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18.3%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122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233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256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233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378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373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326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348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368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381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403 |
대선, 누가 승리해도 내년 증시 상승 | 10/22 | 384 |
사우디 석유 증산 전망에 국제유가 하락 | 09/26 | 404 |
민주당 대통령 후보 해리스 중산층 감세 추진 | 09/25 | 432 |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 6.09%…19개월만에 최저 | 09/22 | 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