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집값 급중으로 주택 소유주와 세입자간 자산 불평등 심화
지난 2년 동안 미국 집값이 총 6조달러 이상 불어나면서 집을 가진 자와 그렇지 못한 자 사이의 자산 불평등이 심화했다고 뉴욕타임스가 1일 진단했다.
미 연방준비제도(집계에 따르면 미국 내 집주인의 주택 자산 규모는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9년 4분기 19조5천121억달러에서 작년 4분기 26조3천630억달러로 6조8천508억달러 35.1% 늘었다.
이런 자산 증가의 대부분은 새 집 공급이나 기존 주택 리모델링에 따른 가치 증가가 아니라 팬데믹기간 수요 과다와 공급 부족에 따른 기록적인 집값 상승에 따른 것이라고 NYT는 전했다.외신에 따르면 미국 집값의 주요 지표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는 지난해 연간 18.8% 올랐다.
이는 1987년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34년 만에 가장 높은 연간 상승률이다.NYT는 낮은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와 팬데믹 상황에서 생활 공간을 확대하려는 욕구 등으로 주택 수요가 늘었으나 주택 신규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집값 상승으로 기존 주택 소유자 65%에게 혜택이 돌아갔다고 볼 수 있으나, 주택 임대료 등이 빠르게 상승, 집이 없는 사람들에겐 재난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플레이션과 원자재 가격 폭등, 공급망 대란으로 미국 집값이 급등하면서 자산 불평등이 심화하고 있다는 것이다.NYT는 앞으로 집을 사야 하는 밀레니얼 세대에 비해 이미 집을 가진 베이비붐 세대, 자가 보유율이 흑인 가구에 비해 약 30%포인트 높은 백인 가구 등이 이런 집값 상승으로 불균형하게 혜택을 받으면서 불평등이 증폭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런 가운데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는 올해 2월에도 작년 동기보다 19.8% 급등, 집값 상승세가 올해도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 인상 등 통화 긴축에 속도를 내는 것도 금리 인상 전 주택을 사려는 수요자를 자극한 셈이 됐다.이 신문은 최근 금리가 급격히 상승해 이제 주택 가격 상승 속도가 완화할 것이라면서도 주택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122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233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256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233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378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373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326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348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368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381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403 |
대선, 누가 승리해도 내년 증시 상승 | 10/22 | 384 |
사우디 석유 증산 전망에 국제유가 하락 | 09/26 | 404 |
민주당 대통령 후보 해리스 중산층 감세 추진 | 09/25 | 432 |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 6.09%…19개월만에 최저 | 09/22 | 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