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시대 주택시장의 역설
코로나19 확산 사태와 이에 따른 비즈니스 봉쇄령 등의 여파로 경제적 타격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남가주의 주택시장만은 ‘코로나 불황’을 모른 채 매물 부족과 가격 급등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LA 카운티의 주택 판매 현황이 주택 판매 건수는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반면 주택 가격은 사상 최대치의 고공행진을 했기 때문이다.
28일 LA 데일리뉴스는 DQ뉴스의 데이터를 인용해 LA 카운티에서 지난 6월에 판매된 주택 수는 모두 5,063채를 기록한 가운데 이들 거래된 주택들의 판매 중간가격이 64만3,000달러로 2년 만에 최고 기록을 갈아치운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4% 올라간 수준이며, 2년전인 2020년 3월에 역대 최고치였던 64만 달러를 앞지른 것이다.
반면 이 기간 거래된 주택의 수는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24%나 줄어든 수치로, 매물이 매우 부족해 주택시장에 나온 매물들이 나오자마자 팔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주택 시장 판매 상황을 자세히 보면 기존 단독 주택은 6월 한달 동안 3,626채가 팔려 1년 전에 비해 23%나 줄었으며 판매 중간 가격은 69만 달러로 1년 전에 비해 6.3% 인상됐다. 신규 주택은 240채가 판매되어 1년 전에 비해 무려 33%나 급감한 반면에 판매 중간 가격은 69만6,250달러로 8.9%나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 기존 콘도는 1,197채로 지난해 대비 26%나 감소하면서 판매 중간 가격 역시 52만달러로 2.8% 하락했다.
이같은 현상은 오픈과 셧다운이 반복되면서 경기 침체 현상이 나타나자 낮은 모기지 금리로 구매 자금을 확보한 주택 수요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선 것과 동시에 주택 소유주 역시 매물을 다시 거둬 들이면서 매물 부족 사태가 빚어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한인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현재 주택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구매에 나서고 있는 것은 확실한 직업을 가지고 있는 구매자들이라는 점이다. 매물이 부족한 상황에서 구매 자신감을 확보하고 있는 수요자들 사이에 경쟁이 붙다 보니 자연스럽게 주택 판매 가격의 인상으로 이어진다는 분석이 관련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매물이 부족한 상황에서 치열한 매입 경쟁이 붙으면서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124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235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258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235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380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375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326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350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369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381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403 |
대선, 누가 승리해도 내년 증시 상승 | 10/22 | 384 |
사우디 석유 증산 전망에 국제유가 하락 | 09/26 | 404 |
민주당 대통령 후보 해리스 중산층 감세 추진 | 09/25 | 432 |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 6.09%…19개월만에 최저 | 09/22 | 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