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제한 양적완화’에도 다우지수 3% 하락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연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해 파격적인 유동성 공급조치를 내놨지만, 시장의 하락 추세를 되돌리지는 못했다.
23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 존스 지수는 582.05포인트(3.04%) 하락한 18,591.93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960포인트 밀리기도 했다.
S&P 500 지수는 67.52포인트(2.93%) 내린 2,237.40에, 나스닥 지수는 18.84포인트(0.27%) 하락한 6,860.67에 마감했다.
연준은 유동성 지원책으로 미국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매입하는 양적완화(QE) 정책을 사실상 무제한 실행하기로 했다. 회사채 시장을 중심으로 기업과 가계 신용을 지원하는 신규 대책도 내놨다.
그렇지만 시장 투자자들은 연방정부 경기부양책의 의회 논의에 주목했다고 경제매체 CNBC 방송은 보도했다. 공화당과 민주당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마련한 경기부양 패키지법안을 놓고 막판 힘겨루기를 계속하고 있다.
다만 외환시장과 채권시장은 연준의 조치에 반응했다.
뉴욕 채권시장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0.16%포인트 급락한 0.77%를 나타냈다. 연준의 무제한 양적완화 기대감으로 채권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채권은 가격과 금리가 반대로 움직인다.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124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236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258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235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381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375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326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352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369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383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404 |
대선, 누가 승리해도 내년 증시 상승 | 10/22 | 385 |
사우디 석유 증산 전망에 국제유가 하락 | 09/26 | 405 |
민주당 대통령 후보 해리스 중산층 감세 추진 | 09/25 | 433 |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 6.09%…19개월만에 최저 | 09/22 | 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