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창업 22년만에 ‘시총 1조달러’ 돌파
세계 최대 검색엔진인 구글의 지주회사 알파벳이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달성했다.
미국 증시에서 '꿈의 시총'으로 불리는 1조 달러를 웃돈 것은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이어 네번째다. 전 세계로 범위를 넓혀도 사우디아라비아 증시에 상장한 사우디 국영석유회사 아람코를 제외하면 모두 미국 나스닥의 정보·기술(IT) 공룡들이다.
16일 뉴욕증시에서 알파벳은 12.50달러(0.87%) 오른 1,451.7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로써 시가총액 1조10억 달러를 기록했다.
스탠퍼드대 동문인 래리 페이지(47)와 세르게이 브린(47)이 지난 1998년 집 차고에서 구글을 설립한 지 22년 만이다.
두 창업자는 지난해 12월 순다르 피차이 최고경영자(CEO)에게 경영권을 넘기고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
리더십 변화와 맞물린 신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 상승의 요인으로 꼽힌다. 검색 엔진, 인터넷 포털 비즈니스를 넘어 인공지능(AI) 업체로 전환을 가속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나스닥으로 대표되는 미국 IT 종목의 독주 체제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작년 연말 9,000선을 돌파한 나스닥지수는 파죽지세의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나스닥은 이날 98.44포인트(1.06%) 상승한 9,357.13에 거래를 마치면서 9,300선을 넘어섰다.
앞서 애플은 2018년 8월 역사상 처음으로 시총 1조 달러를 돌파했고, 지금은 1조3천800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대장주(株) 자리를 지키고 있다.
같은 해 9월에는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이 시총 1조 달러를 넘어섰다. 이후로 주가 조정을 거치면서 시총이 9천300억 달러로 줄어든 상태다.
그 사이 MS가 지난해 4월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고, 현재는 1조2천680억 달러로 애플을 맹추격하고 있다.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124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236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258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235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381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375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326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352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369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383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405 |
대선, 누가 승리해도 내년 증시 상승 | 10/22 | 385 |
사우디 석유 증산 전망에 국제유가 하락 | 09/26 | 405 |
민주당 대통령 후보 해리스 중산층 감세 추진 | 09/25 | 433 |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 6.09%…19개월만에 최저 | 09/22 | 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