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지니아 최저임금법안 주 상원 입법위원회 통과, 본회의 상정
전국에 거세게 부는 시간 당 최저임금 인상안 바람이 버지니아 주 의회에 불고 있다.
버지니아 입법 정보시스템(LIS)에 따르면 로잘린 댄스 상원 의원(Rosalyn R. Dance, 16지구, 민주)이 지난 3일 발의한 최저임금 인상안 법안(SB 1200)은 14일 주 상원 상무·노동입법위원회에서 최종 통과됐다.
이 법안이 최종 법제화되기 위해서는 상원 본 회의 통과와 주지사 서명 단계가 남아있는 상황.
이번 입법위에서 통과된 법안은 현재 버지니아의 시간 당 최저 임금인 7.25달러를 오는 7월 1일부터는 시간당 10달러로 인상하고, 오는 2020년까지는 13달러, 2021년까지는 15달러까지 인상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안이 통과되자 시민단체들이 일제히 반겼다.
타라 깁슨 가족경제친화 추진위원회(CFFE) 버지니아 디렉터는 “최저임금 인상안은 가족들 특히 시간당 임금에서 차별받고 있는 여성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임금이 낮아 렌트와 생활비 마련을 위해 투 잡을 갖고 있는 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기회를 더 갖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 상원에서 법안이 쉽게 통과되리란 기대도 쉽지 않다.
LIS에 따르면 입법위원회는 이 법안을 6대 4로 통과시켰는데 6명은 민주당, 반대한 4명은 전부 공화당 의원으로 나타나났다.
지역 언론에 따르면 주 상원 의회는 현재 21대 19로 공화당이 다수당으로 구성됐기 때문에 공화당 의원 전원이 반대할 경우 법안 추진이 불가능하다.
올해부터 뉴저지, 플로리다 등 8개 주에서는 평균 생활비 기대산정치에 따라 최저임금이 자동 인상됐고, 뉴욕과 캘리포니아 등 10개 주에서는 지난 주 의회 회기에서 최저인금 법안이 통과돼 올해부터 인상안이 적용됐다. 또 DC를 포함해 델라웨어 등 4개 주는 올해 안으로 최저인금 인상을 적용한다.
<한국일보: 강진우 기자>
전국에 거세게 부는 시간 당 최저임금 인상안 바람이 버지니아 주 의회에 불고 있다.
버지니아 입법 정보시스템(LIS)에 따르면 로잘린 댄스 상원 의원(Rosalyn R. Dance, 16지구, 민주)이 지난 3일 발의한 최저임금 인상안 법안(SB 1200)은 14일 주 상원 상무·노동입법위원회에서 최종 통과됐다.
이 법안이 최종 법제화되기 위해서는 상원 본 회의 통과와 주지사 서명 단계가 남아있는 상황.
이번 입법위에서 통과된 법안은 현재 버지니아의 시간 당 최저 임금인 7.25달러를 오는 7월 1일부터는 시간당 10달러로 인상하고, 오는 2020년까지는 13달러, 2021년까지는 15달러까지 인상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안이 통과되자 시민단체들이 일제히 반겼다.
타라 깁슨 가족경제친화 추진위원회(CFFE) 버지니아 디렉터는 “최저임금 인상안은 가족들 특히 시간당 임금에서 차별받고 있는 여성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임금이 낮아 렌트와 생활비 마련을 위해 투 잡을 갖고 있는 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기회를 더 갖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 상원에서 법안이 쉽게 통과되리란 기대도 쉽지 않다.
LIS에 따르면 입법위원회는 이 법안을 6대 4로 통과시켰는데 6명은 민주당, 반대한 4명은 전부 공화당 의원으로 나타나났다.
지역 언론에 따르면 주 상원 의회는 현재 21대 19로 공화당이 다수당으로 구성됐기 때문에 공화당 의원 전원이 반대할 경우 법안 추진이 불가능하다.
올해부터 뉴저지, 플로리다 등 8개 주에서는 평균 생활비 기대산정치에 따라 최저임금이 자동 인상됐고, 뉴욕과 캘리포니아 등 10개 주에서는 지난 주 의회 회기에서 최저인금 법안이 통과돼 올해부터 인상안이 적용됐다. 또 DC를 포함해 델라웨어 등 4개 주는 올해 안으로 최저인금 인상을 적용한다.
<한국일보: 강진우 기자>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124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237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259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236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382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375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326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352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372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384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406 |
대선, 누가 승리해도 내년 증시 상승 | 10/22 | 386 |
사우디 석유 증산 전망에 국제유가 하락 | 09/26 | 406 |
민주당 대통령 후보 해리스 중산층 감세 추진 | 09/25 | 433 |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 6.09%…19개월만에 최저 | 09/22 | 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