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지역 부동산 2018년도 성장세 지속

■북버지니아
북버지니아 지역의 개발은 확장공사가 막바지로 향하는 메트로 실버라인 역사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메트로 타이슨스코너 지역 스프링 힐 역, 레스턴 메트로 타운센터 등이 대표적인 예다.
워싱턴 지역 최대 상업지구인 타이슨스 코너 지역은 또 한번의 재개발을 2025년까지 완성한다는 목표다. 48층 규모로 완공될 경우 워싱턴 최대 빌딩으로 등극하는 ‘아이코닉 타워’의 건설을 비롯 스프링 힐 메트로 역 인근 7에이커 부지의 재개발이 한창이다.
아이코닉 타워는 높이 615피트로, 완공되면 현재 타이슨스 코너에 건설 중인 캐피털 원(Capital One) 타이슨 본부보다 145피트, 워싱턴 DC의 상징물 워싱턴 모뉴먼트를 60피트 상회하는 이 지역 최고 건물이 된다.
레스턴 지역 역시 개발계획이 한창이다. 워싱턴 메트로 타운센터를 중심으로 남부와 북부에 대형 시가지 및 주거타운이 형성될 예정이다.
‘레스턴 게이트웨이’ 개발계획은 이 곳에 총 800만 스퀘어피트 규모의 타운을 건설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또, 저개발 상태인 북부 지역도 현대식 밀집지역으로 변모시킨다는 계획이다.
저밀도 교외지역 상태로 머물고 있는, 개발이 더딘 이 일대는 현대식 밀집지역으로 바뀌게 된다.
개발계획은 2단계로 나눠서 진행될 예정이다. 실버라인 확장공사가 종료되는 1단계까지는 190만 스퀘어피트 규모의 시가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이밖에도 한인타운이 들어선 메이슨 지구도 기존의 노후된 건물들이 지속적으로 리모델링 및 새로운 건물로 탈바꿈하고 있다.
센터빌 서쪽 지역인 리스버그 일대와 덜레스 공항을 중심으로 28번 도로 인근지역에도 각종 주택과 IT 산업단지가 들어서고 있어 부동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메릴랜드
내셔널 하버의 MGM 카지노는 지금껏 낙후지역으로 머물렀던 프린스조지스 카운티의 급격한 개발을 견인하고 있다.
내셔널 하버는 워싱턴 DC와 북버지니아와 상대적으로 가깝다는 지리적 장점과 함께 콘도와 아파트, 주택단지의 건설이 활발하다.
이같은 이유로 부동산 전문가들은 고객에게 이 지역 투자를 적극 권유하고 있다.
프린스조지스 카운티는 수트랜드 연방센터 타운스퀘어 재개발과 나사 인근 로럴, 라고 지역 재개발도 활기차게 추진되고 있다.
볼티모어카운티 역시 지역 재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특히 볼티모어시 캐서린 퓨 시장은 워싱턴 DC를 모델로 대형 투자회사와 합작해 지역 빈곤층 거주지의 재개발 및 정비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한인들을 포함한 지역 스몰비지니스 사업자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대형자본을 필두로 지역을 통째로 재건설하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 상태다. 이는 장기적으로 볼티모어시를 탈바꿈 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경제적으로 부유한 하워드 카운티는 고급 주택단지와 주거지 타운이 점점 카운티 북동부 교외로 확장 중이다. 270번 고속도로를 볼 때 15번 출구인 저먼타운까지였던 ‘워싱턴 메트로’ 영역 또한 북부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기존 메릴랜드 최북단으로 여겨졌던 프레더릭 카운티 역시 바이오산업 및 경제성장으로 젊은층과 중산층 이상 주민들이 대거 유입되고 있다.
워프 지구와 사우스웨스트 개발은 현재 진행형인 워싱턴DC 재개발의 ‘최신상품’이다.
워프 프로젝트는 미국 내에서 가장 오래된 수산시장인 DC 피쉬마켓에 대한 100년만의 재개발 사업으로, 워싱턴 사우스웨스트 24에이커에 펼쳐진 강변의 경관을 문화지구로 완전히 바꿨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지난 10월 완공된 워프 1차 개발의 총예산 25억달러, 규모는 총면적 300만 스퀘어피트다.
주요 개발내용으로는 아파트, 콘도, 쇼핑센터, 보드워크 등이 있다. 특히 6,000석 규모의 콘서트 홀 ‘앤텀’이 지역 주민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이 개발로 풀타임 일자리도 6,000여개나 창출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워프 2차 개발공사도 2018년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또한 버저드 포인트 및 워싱턴내셔널 야구장 인근 지역 역시 복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노스웨스트, 사우스웨스트 지역개발이 완료되는 2025년 이후로는 낙후됐다는 평가를 받는 북동부 지역과 흑인 밀집 우범지대로 인식되고 있는 사우스이스트 지역의 개발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박지영 기자>
제목 | 등록일자 | 조회 |
---|---|---|
가상자산 전략 비축 추진 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도 포함 | 03/02 | 124 |
12월 기존주택판매 전월 대비 2.2% 증가 | 01/27 | 237 |
트럼프, 가상화폐 워킹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 | 01/23 | 259 |
미국 1월 주택시장지수 47…5개월 연속 회복세 | 01/16 | 236 |
트럼프=인플레는 아냐....호히려 디스인플레이 | 11/25 | 382 |
트럼프 미디어 가상화폐 분야로 진출 모색 | 11/21 | 375 |
'트럼프 거래' 재개에 달러-원 1,400원 돌파 | 11/11 | 326 |
미 8월 주택가격 작년 대비 4.2% 상승… | 10/31 | 352 |
미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감소…연속 청구는 3년만 최대 | 10/24 | 372 |
리플 CEO "대선서 누가 이기든 ' 의회 암호화폐' 우호적일 것" | 10/24 | 384 |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미국 대선 전, 금·비트코인 매수" | 10/24 | 406 |
대선, 누가 승리해도 내년 증시 상승 | 10/22 | 386 |
사우디 석유 증산 전망에 국제유가 하락 | 09/26 | 406 |
민주당 대통령 후보 해리스 중산층 감세 추진 | 09/25 | 433 |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 6.09%…19개월만에 최저 | 09/22 | 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