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Credit: pickupimage.com

에너지비용을 절감하자

많은 분들이 전기세나 개스비 등 주택의 높은 에너지 비용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 특히 난방 비용이 많이 드는 겨울철에는 에너지 비용이 그만큼 높아 부담이 크기 마련이다. 에너지 비용을 줄이고 주택의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절감하는 방법을 찾기위해 요즘 많은 미국인들이 선택하고 있는 서비스가 에너지 감정(Energy Audit)이다. 에너지 감정 서비스는 주택의 구석구석을 점검해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교정해 에너지 비용을 낮추도록 한다. 에너지 감정 회사의 직원은 직접 주택을 방문해 집안 구석구석을 직접 인스펙션한 후 낭비되고 있는 에너지 비용을 산출한 후 비용 절감 대책을 수립해 준다. 겨울철에는 난방비용을, 그리고 여름철에는 냉방비용을 집중적으로 인스펙션 하게되며, 관련 업계에 따르면 작게는 10%에서부터 많게는 30-40%까지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게 한다고 한다. 에너지 감정에서 집중적으로 점검하는 부분은 천정과 지하, 그리고 벽의 단열처리 및 환기 장치, 그리고 외부 공기 유입 차단 정도, 마지막으로 난방 및 냉방 장치의 효율성 등이다. 이러한 부분들은 에너지 감정 회사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주택 소유자가 직접 자신의 집의 에너지 사용 상태를 확인할 때도 중요한 부분이므로 가끔 점검해 보는 것이 좋다. 우선 주택의 단열 정도를 알아본다. 천정과 지하, 벽 등에 사용된 단열재의 두께와 재질 등을 확인해 단열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특히 천정은 단열재가 천정의 바닥 부분을 제대로 커버하고 있는지, 또 천정의 습기가 건물 밖으로 제대로 배출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습기의 배출이 안되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여러가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환기 시스템의 확인은 필수적이다. 천정과 마찬가지로 지하실도 같은 부분들을 확인하며, 벽의 단열재 처리 역시 꼼꼼히 살펴본다. 다음은 외부 공기 유입 정도를 확인하는 일이다. 미국 연방 에너지부의 발표에 따르면 외부 공기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을 5%에서 최고 30%까지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쉬운 창문과 출입문의 종류와 형태, 닫힘 상태 등을 확인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건물이 오래되어 창이나 문의 틈이 벌어져 차갑고 뜨거운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지, 또 창틀과 건물 사이의 틈을 막기위한 코킹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등도 점검한다. 에너지 감정 업체들에서는 모든 창문과 출입문을 닫고 외부로 통하는 환기장치를 밀봉한 후 출입문 한곳에 공기 흡입 장치를 설치해 주택 내부 압력을 낮춰 높은 기압의 외부 공기가 건물 내부로 침투할 상태를 만들어 각 창문과 출입문을 통해 침투하는 외부 공기의 유입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산출해 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난방 및 냉방 장치를 점검한다. 냉방장치와 난방장치가 얼마나 효율적인지, 또 관리상태는 양호한지 확인함으로써 설비 자체의 결함이나 에너지 효율도를 측정하게 된다. 에너지 감정 업체들에서 특히 신경을 쓰는 부분은 환기배관(Duct) 시스템인데, 배관에 균열이 있는지, 연결 부분이 제대로 시공되어 있는지, 기타 손상은 없는지 확인한다. 지금 이 순간 우리 집에서 새어나가는 에너지는 없는지 다시 한번 꼼꼼히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 부동산 문의 및 상담 703-338-2220 미주한인부동산중개업협회 회장 오문석

제목 등록일자 조회
지금 집을 사야 하나 08/31 2,222
나에게 맞는 테넌트 선택하기 08/18 2,056
집을 사기 위한 오퍼 작성 07/06 1,875
캐피탈 게인 택스 면제 받으려면 07/02 1,979
부동산의 매력 06/08 1,735
언제 집 사는 게 좋을까? 05/25 1,705
양도 소득세를 면제 받으려면 04/14 1,664
은행 위기에도 여전히 주택 구입난 03/31 1,665
연준아! 이제 만족하니? 03/17 1,659
올무가 되어버린 정부 재난융자 03/09 1,620
부동산 봄 마켓은 핑크빛 03/02 1,618
시니어들의 부동산 세금 면제 02/05 1,647
벌써 달궈진 1월 부동산 마켓 01/20 1,649
고금리가 뉴 노멀? 01/06 1,624
부동산 겨울 이야기 12/23 1,626